개인적으로 읽으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에서 확인하세요!
🍺 논문 정보
문준환, 김성현, 노희섭 and 구철모. (2019). 빅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관광 도시 사례 분석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관광객 데이터를 중심으로. 경영정보학연구, 21(2), 1-27.
🍺 요약
제주도 스마트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제주도 관광객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관광객의 소비지출 특성과 빠르게 변화하는 관광트렌드 분석
1. 내국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 제시
- 분석 내용: 내국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분석(업종 및 주요 관광테마별 구분/단체와 개별 관광 유형 구분)
데이터 상세
내국인, 중국인 카드 데이터
업종별 카드 이용 데이터
주요 관광업종 인당 이용금액
주요 관광테마 건당, 인당 금액
단체 개별 관광객 소비데이터
업종별 건당, 인당 이용금액
제주 전체 업종별 건당, 인당 금액
2. 제주도 지역별 소비 및 이동경로 분석을 통한 관광현황 파악
- 분석내용: 지역별 관광객의 소비 분석(주요 지역별 구분, 업종에 따른 구분, 시간대별 관광객 소비 현황)
데이터 상세
내국인, 중국인 카드 데이터
업종별 카드 이용 데이터
주요 관광업종 인당 이용금액
지리적 지역 구분 데이터
카드 이용자 유형별 이용금액
업종별 카드 이용 데이터
시간대별 카드 이용 데이터
3. 주요 관광지 및 상권 소비현황 분석
- 분석내용: 주요 상업지구 단위 소비 분석(주요 관광지 및 상권 구분, 주요 상권별 소비 현황)
데이터 상세
관광지 및 상업지구 단위 구분 데이터
카드 이용자 유형별 이용금액
업종별 카드 이용 데이터
🍺 데이터
신용카드: 2016년 9월 ~2017년 8월
- 제주도민, 내국인 관광객(거주지가 제주도가 아님), 중국인 관광객으로 분류
-업종: 교통, 문화레저, 쇼핑소매, 숙박, 식음료, 유흥
이동경로: 2016년 12월 2017년 12월
🍺 주요 분석 결과
- 소비 패턴: 제주를 방문한 관광객의 소비 패턴은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특히 북부 지역의 면세점과 공항 등에서 소비가 집중된다. 중국인 관광객은 쇼핑 및 소매 분야에서 높은 소비를 보이며, 다른 지역에서 소비가 적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인프라 개선과 다양한 프로모션이 필요하다.
- 관광객 유형별 소비 차이: 내국인과 중국인 관광객은 소비 분야가 다르다. 내국인은 유흥, 숙박, 소매에서 많은 소비를 보이고, 중국인은 쇼핑과 숙박에 집중한다. 특히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문화/레저 분야에서 큰 지출을 보인다.
- 스마트 관광 활성화: 제주도는 비콘 장치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스마트 관광 환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욱 정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관광객의 세부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시사점
- 쇼핑관광 활성화: 제주도를 쇼핑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고,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쇼핑 콘텐츠와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
- 교통 인프라 개선: 제주도의 대중교통이 외국인 관광객에게 불편할 수 있어, 대중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고 외국어 표기 등을 강화해야 한다.
- 지역별 맞춤형 관광 상품 개발: 관광객 특성에 맞는 맞춤형 관광 상품과 정책을 개발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소비 유도를 해야 한다.
🍺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
숙박의 경우 대부분 숙박 예약 어플리케이션(네이버, 야놀자, 여기어때, 아고다 등)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을 텐데 이런 부분은 어떻게 처리했는지 궁금하다는 생각을 했다. 카드 결제에는 해당 숙박업체가 아니라 플랫폼명으로 뜰텐데 제주에서 숙박했는지 안했는지 어떻게 알았을까??